말통묵상 144 [예언자들의 언어 – 이사야]
2021.01.02

예루살렘의 위기와 지도자들의 부패
‘내가 자식을 양육하였거늘 그들이 나를 거역하였도다’(사 1:2)
예언서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책이 이사야서입니다. BC 8세기 예언자들로 알려진 아모스, 이사야, 호세아 중 남유다에서 사역했던 예언자는 이사야가 유일했습니다. 그렇다 보니 남유다의 다윗전승에 따른 예언서들 가운데 이사야서가 다른 예언서들의 처음에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아모스의 아들 이사야(예샤야후 벤-아모쯔, יְשַׁעְיָהוּ בֶן־אָמוֹץ)는 남유다의 왕들, 즉 웃시야(BC 791-739년), 요담(BC 750-735년), 아하스(BC 731-715년), 히스기야(BC 715-686년) 시대에 활동했으며 그의 예언활동은 궁중에서 왕들에게 집중되었습니다(사 1:1). 그는 왕권을 옹호하는 역할이 아니라 언약 위반, 종교적 우상숭배, 정치적 타락, 왕권 남용에 맞서서 여호와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특히 그는 다윗 왕조, 즉 시온 언약 전승을 계승했는데 이것은 예루살렘 혹은 시온과 다윗 왕조를 모든 세상 피조물의 창조자이신 여호와의 영원한 대리자로 선택했던 전승을 가리킵니다. 하지만 다윗의 예루살렘, 즉 시온과 맺은 하나님의 언약이 무너져갔습니다. 백성의 무지와 지도자들의 타락은 하나님의 공의와 정의를 무너뜨렸으며 결국에는 여호와 하나님의 가르침을 거역했습니다. 이사야 1장부터 예언자 이사야는 ‘여호와를 거역하는 것’이 곧 심판이며 멸망이라는 계시의 언어에서 시작하고 있습니다.
유다와 예루살렘에 관하여 본 계시(1절)
예언자를 가리켜 ‘호제’(חֹזֵה)라고 일컫기도 합니다(삼하 24:11). 히브리어 ‘호제’는 ‘계시하다’ 혹은 ‘환상을 보다’의 뜻을 가진 완료동사 ‘하자’(חָזָה)를 수행하는 자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이처럼 ‘예언하는 자’의 ‘나비’(נָבִיא)와 ‘계시하는 자’ 혹은 ‘환상을 보는 자’의 ‘호제’는 예언자들의 중심적 역할들이었습니다. 문서 이전의 예언자들 가운데 나단에 이어 다윗을 위해 일했던 갓은 ‘나비’와 ‘호제’의 두 이름을 가진 예언자였습니다. ‘다윗의 선견자 된 선지자 갓’(삼하 24:11)에서 ‘선견자’의 히브리어 ‘호제’(חֹזֵה)와 선지자의 ‘나비’(נָבִיא)가 그것을 증명합니다. 문서 이후 예언서 가운데 가장 먼저 등장하는 이사야서는 이사야의 소명 이야기(Calling Narrative)가 아니라 ‘계시’(하존, חֲזוֹן)에서부터 시작합니다. 이사야서 뿐만 아니라 나훔서(나 1:1), 오바댜서(옵 1), 하박국서(합 2:2), 에스겔(겔 7:13)의 예언활동을 ‘하존’이나 ‘하줏’(חָזוּת)으로 이해했습니다. 이처럼 이사야를 비롯하여 문서 이후 예언자들은 왕이나 이스라엘 백성 앞에서 하나님의 말씀(드바르 엘로힘, דְּבַר־אֱלֹהִים)을 전하는 중재자적 역할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계시(하존, חֲזוֹן)를 선포하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했습니다.
백성의 무지(2-4절)
예언자들의 계시는 주로 ‘심판 예언 선언’(prophetic judgement speech)으로 시작합니다. 여호와를 대신하여 개인과 집단, 그리고 국가에 대한 심판을 선언하는 예언자들은 심판의 이유를 밝혔습니다. 이사야의 계시는 이스라엘 백성이 ‘여호와를 거역하였고’(사 1:2), ‘이스라엘은 알지 못하고 깨닫지 못하였으며(사 1:3), ‘여호와를 버리며 이스라엘의 거룩하신 이를 만홀히 여겨 멀리하고 물러갔도다’(사 1:4)에서 심판 이유를 밝히고 있습니다. 여기서 예언자 이사야는 ‘알지 못하고’(לֹא יָדַע), ‘깨닫지 못했다’(לֹא הִתְבּוֹנָן), 즉 ‘백성의 무지’를 강조했습니다. ‘알다’(יָדַע)와 ‘깨닫다’(הִתְבּוֹנָן)의 히브리어는 하나님의 약속과 계약에서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의 관계를 가장 잘 표현하는 언어들이었습니다. 이 관계의 단절은 ‘여호와를 거역하고’(파쉬우, פָּשְׁעוּ), ‘여호와를 버리며’(עָזְבוּ אֶת־יְהוָה), ‘여호와를 만홀히 여기며’(עָזְבוּ אֶת־יְהוָה), ‘여호와를 멀리하고 물러나다’(נָזֹרוּ אָחֽוֹר)의 결과로 이어졌습니다(사 1:2-4). 이처럼 이사야는 ‘백성의 무지’가 그 원인이 되었으며 그 결과로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는 계시를 선포했습니다.
예루살렘의 위기(5-9절)
서론에서 언급한 것처럼 이사야가 예언자로서 활동한 것은 웃시야 왕 때부터(사 1:1, 6:1) 산헤립이 유대를 침입한 히스기야 왕 14년까지(사 36:1)입니다. BC 743년부터 701년까지 약 40년간의 예언 활동이었습니다. BC 738년 즈음 앗수르 제국의 디글랏빌레셀은 북이스라엘과 아람의 다메섹을 점령하고 봉신국으로 삼았습니다. 그때 아람의 르신(BC 737-732년, 왕하 15:27-31)과 북이스라엘의 베가(BC 738-737년, 왕하 15:23-26)를 중심으로 반앗수르 연합이 형성되었으며 이 연합군은 남유다를 연합군에 포함시키려고 했습니다. 앗수르의 봉신국이 아니었던 남유다의 아하스 왕은 이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이에 따라 르신과 베가는 남유다를 침공했으며 남유다의 아하스는 이사야의 만류에도 불구하고(사 7:1-7) 앗수르 제국에게 도움을 청하고 조공까지 바쳤습니다(왕하 16:7). 이처럼 아람과 북이스라엘의 위협과 침공을 이유로 앗수르 제국의 봉신국이 된 남유다는 점점 황폐해갔으며 결국 여호와 신앙마저 저버리는 일까지 서슴지 않았습니다. 여호와 하나님을 거역하고 떠나는 일은 여호와 하나님이 남유다를 심판하실 결과를 초래하며 그 심판의 도구로 앗수르를 부르시며 그들의 침략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사실이었습니다.
지도자들의 부패(10, 23절)
남유다의 웃시야 왕은 영토확장과 활발한 경제활동으로 엄청난 부를 축적했습니다(대하 26:6-15). 그를 가리켜 ‘농사를 좋아했다’(대하 26:10)라고 부르기도 했지만 본래의 히브리어 문장은 ‘땅을 사랑했다’(כִּי־אֹהֵב אֲדָמָה הָיָה)이며 이 표현은 부의 축적에 대한 비판적 히브리 표현으로도 이해될 수 있습니다. 웃시야 시대의 농민들은 왕권 남용에 따른 세금 부과 및 노동착취로 고통을 받았으며 채무 불이행에 따라 재산을 빼앗기는 일이 비일비재했습니다. 이사야는 왕권을 남용하여 농민들을 착취하는 고위층들을 가리켜 ‘소돔의 관원들’(사 1:10)이라고 비난했습니다. ‘관원들’(10절)과 ‘고관들’(23절)은 왕권에 기대어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이들의 부패에 대한 이사야의 비난은 ‘도둑과 짝하며 다 뇌물을 사랑하며 예물을 구하며 고아를 위하여 신원하지 아니하며 과부의 송사를 수리하지 아니하는도다’(사 1:23)에서 절정에 이르렀습니다. 이처럼 지도자들의 패역과 부패에 대한 이사야의 심판 언어는 이사야서 곳곳에서 발견됩니다.
공의와 정의(27절)
예언자 이사야는 하나님이 나라의 지도자들에게 요구하는 것이 바로 ‘공의’의 ‘쩨다카’(צְדָקָֽה)와 ‘정의’의 ‘미쉬파트’(מִשְׁפָּט)라는 사실을 명시하고 있습니다(사 1:27). 공의와 정의는 하나님 나라의 가치이며 하나님의 백성에게 요구되는 실천적 삶의 원리입니다. 만일 그것들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하나님은 공의와 정의로 민족 전체의 신앙적 결속을 공고히 해야 할 책임을 진 지도자들이 심판을 받을 것이며 민족 공동체는 스스로 붕괴되는 현실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예언자 이사야를 비롯하여 BC 8세기 예언자들은 시내산 계약에 근거하여 여호와 하나님과 남유다의 계약 관계를 강조했으며 계약 파기에 따른 심판의 예언을 해야만 했습니다. 하나님과 약속의 백성 사이의 관계 훼손은 곧 주변의 강대국 침공으로 이어지며 결국 붕괴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구약성경의 역사라는 사실이 예언자들의 계시에서 확인됩니다.